주요 활동 및 성과
빠르고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로 국민과 함께 가겠습니다.
지역 맞춤형 협력사업으로 지역사회와 “같이의 가치” 구현
- 철도 교량하부 등 유휴부지를 활용한 창업 플랫폼 구축
- Station-G, A
- 청년스타트업․예술창작 지원 및 창업역량 강화 (안산시)
- 예술창작 플랫폼
- 국유재산을 활용한 창업․중소상공인 지원
- 서울역 칙칙쿡쿡
- 지역 소상공인단체와 마케팅을 통한 푸드창업센터 운영
- 영등포역
- 舊서울역
- 최초로 국유화된 철도 대형 상업시설(백화점, 마트)에 중소제품 판매장 설치 의무화
- 사회‧경제적 약자 지원을 통한 자활‧자립기반 강화
- 출장세차
- 네일케어
- 청각장애인의 창업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네일샵 제공
- 추진성과
- 인사혁신처 주관 「적극행정 우수사례」 처장상 수상(`19.11월)
- 지자체와 유휴부지 맞춤형 협업을 통해 지역 일자리 1,816명 창출
철도시설을 활용, 지역사회 취약계층 지원 및 편의제공
- 중소기업 등 취약계층 근로자 일‧가정 양립을 위한 어린이집 개원
- 추진내용
- 남양주시 평내호평역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국내 최초의 역사 내 철도어린이집 개원(`19.3월)
- 운영현황
- 시립어린이집으로 위탁하여 영유아 3개반 30명 보육
- 공단 보유시설 개방 및 정보공유를 통한 지역주민 편의 증진
- 시설개방
- 강원도 산불피해 이재민에게 공단보유 수련원 무상 제공
- 정보공유
- 전국 1,013개 철도역 교통약자 이동경로, 열차운행현황 등 공공데이터 공유
- 추진성과
- 상생노력을 인정받아 공공기관 최초 자상한기관 지정(중기부, `19.11월)
- 행안부 주관 공공서비스 혁신 우수사례 장관상 수상
체불e제로 고도화 등 End-User 지급관리로 체불 Zero 달성
- 체불e제로시스템 고도화 추진
- 전 현장 확대
- 체불e제로를 원도급사 중심에서 하도급사까지 전면 확대
- 신청,승인 전자처리
- 하도급계약 수기작성에서 전자시스템으로 신청․승인
- 지급현황 공개
- 원․하도급사 대금청구부터 지급까지 전 과정 실시간 확인
- ☑체불Zero달성
- 근로자 전자카드제 시범운영으로 근로자 불편해소 및 확대
- 모니터링강화
- 현장 일용직 근로자 임금, 퇴직공제금 등 권익보호 강화
- 스마트폰 앱 개발
- 근로자 불편 해소를 위해 스마트폰 앱 개발 및 적용
- 적용확대 및 홍보
- 시범사업 확대(300억원 이상→100억원 이상) 및 홍보 강화
- ☑홍보포스터제작
- 전사적 임금체불 점검 및 불공정하도급센터 민원접수 처리일 단축
- 명절대비 합동점검
- 철도건설 전 현장 명절 대비 임금체불 현황점검
- 불공정 하도급센터
- 온라인 신고센터로 임금체불 등 불공정행위 접수․처리
- ☑처리일대폭단축
- 추진성과
- 전사적인 체불방지 운동으로 전 철도현장 체불 “zero“ 달성
중소 협력사 기술개발 협력 및 보호 등 상생가치 실현
- 중소기업 기술개발 활성화를 위한 금융, 기술, 교육 등 다각적 지원
- 민관협력 펀드조성
- 중기부와 협약, 기술개발 민관협력펀드 조성(`19.11월)
- 중소기업 기술개발 활성화
- 중소기업 역량강화
- 중소기업 기술이전
- 특허 시공기술을 중소기업에 무상 이전(2개 품목, 4개사)
- 구매조건부 민관공동투자
- 구매조건부 민관공동기술개발 제품 120억원 구매
- 성과공유과제 1건 완료, 구매조건부(순수,민관) 과제 6건 추진
- 철도용품 국제인증
- 우수기술 보유 중소기업 생산 철도용품 국제인증 지원
- 민관공동개발을 통한 철도자재 국산화로 독점차단 및 기술향상
- 지원방향
- 개선내용
- 국내침목업체와 설계․제작․시험부설․검증 등 공동개발 추진
- 공개설명회를 통한 제조사 모집, 공동개발협약 체결(9개사)
- 추진성과
- 철도학회 '19년 철도 10대 기술상 수상(2건)으로 우수기술 개발성과 검증
- 공단․협력사 지식재산권 공동소유, 희망업체 기술개방으로 독점차단
중소기업 판로 확대․지원을 위한 희망사다리 구축
- 철도기술톡톡 및 구매상담회 등 중소기업 판로개척 프로그램 구축
- 시스템 개발
- 철도기술톡톡 아고라 웹 개발
- 협력사의 우수기술 신청․접수․발표자료 공유 등이 가능한 「철도기술톡톡․아고라」 웹서비스 개발․운영
- 발표회
- 철도기술톡톡
- 중소기업 우수기술을 공개적으로 홍보․교류하는 「소통의 장」제공(총 14회 시행, 111개 업체 참여)
- 제도 개선
- 대상 다변화, 진입장벽 완화
- 기술톡톡 적용 확대를 위한 대상 다변화 및 진입장벽 완화
- 심의대상 확대(7개→20개), 심의 시 등록기술 1개 이상 의무
- 구매 상담회
- 중기부, 산자부, 지자체 등 상담회 참여 및 구매계약 체결
- 중소협력사 해외사업 동반진출 지원으로 공공마중물 역할 정착
- 지원방향
- 해외사업 경험․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 기술, 자금 등 전사적 해외진출 지원
- 동반 진출 플랫폼
- 추진성과
- 기술톡톡 우수기술 홍보 및 적용으로 판로개척(8개소, 248억원)
- 구매상담회로 중소기업 3개사 9억원 신규구매('18년 0→'19년 9억원)
- 인니 자카르타 경전철 사업을 통한 국산 시스템 해외판로 개척(160억원)
- 제도개선을 통한 협력사 안전강화 및 하도급사 최소 용역비 보장
- 개선현황
- 공정경제 활성화팀 운영으로 제도개선 등 9개 분야 60개 과제 개선
- 계: 60건 / 총괄: 6 / 제도개선: 5 / 건설: 17 / 시스템: 13 / 시설: 15 / 안전: 1 / 해외: 1 / 연구: 1 / 기타: 1
- 주요 개선 내용
- 구분
- 공사
- 종합심사낙찰제 심사기준 / 심사대상을 64% 이상으로 상향 / 저가 하도급 관리 강화
- 낙찰적격 심사기준 / 안전관리비 등은 낙찰률 미적용 / 근로자 보호비용 적정 지급 보장
- 자재
- 전차선로자재 / 전차선 자재(10종)를 공단 직접 구매, / 납품가능 협력사 대상 확대
- 하도급 계약 체결 시 표준계약서 준수로 공정경제 강화
- 추진 내용
- 기존
- [공사]계약서 수정 제약사항 없음
- [용역]하도급 심사 기준 없음
- 개선
- [공사]하수급인 계약상 이익 제한 금지
- [용역]하도급 심사 관리 기준 신설
- 추진성과
- 현장소통을 통한 全 분야 60개 과제 발굴 및 개선으로 공정경제 활성화
- 중소기업 우대 강화로 중소기업제품 1.8조원 구매('18년 대비 0.1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