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홈으로 사업소개 철도건설 광역철도 주요사업현황

광역철도

빠르고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로 국민과 함께 가겠습니다.

주요사업현황

  • 신안산선 복선전철(BTO-rs)
    신안산선 복선전철(BTO-rs) 노선 관련 그림
    담당자
    수도권본부 신안산선사업단, 02-788-5138
    사업내용
    안산(한양대)~여의도, 시흥시청~광명, 송산~원시 44.9km 복선전철
    사업기간
    2019년~2026년
    총사업비
    4조 3,055억원(국고 1조 5,702억원, 지방비 6,723억원, 민자 2조 630억원)
    사업효과
    • 수도권 서남부와 서울 도심부를 직결하는 수도권 광역철도망 구축
    • 수도권 지역개발 촉진 및 교통편의 제공
    추진현황
    • 용지매입 및 노반공사 계속
    공정률
    ('25.6월 기준)
    94.77%
    추진실적
    • '03. 4. ~ '03. : 예비타당성조사 (BC=1.34, 기획재정부)
    • '06. 6. ~ '07.12.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국토교통부)
    • '08.12. ~ '09.12. : 신안산선 지역갈등 해소방안 연구용역(국토교통부)
    • '10. 4. ~ '10. 9. : 타당성재조사(기획재정부)
    • '10.12.16. : 기본계획 고시(국토교통부 고시 제2010-933호)
    • '11. 3. ~ '12.12. : 노반 기본 및 실시설계 (공단)
    • '13. 7. ~ '15. 8. : 민자사업 타당성 분석(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 1단계(안산·시흥~여의도) : B/C=0.95, AHP=0.5
    • '14. 9. ~ '15.12.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변경 용역(공단)
    • '15. 9. ~ '16. 2. : 시설사업 기본계획 수립 (국토교통부, ㆍKOTI)
    • '16.10.13. : 민자사업지정 및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
    • '16.12.23. : 시설사업기본계획 재고시
    • '17. 9. 7. : 시설사업기본계획 변경 고시 (신안산선 직결에 따른 시흥시청역 확폭부 및 본선 종단선형 변경)
    • '17.12.12. : 시설사업기본계획 변경 재고시
    • '18. 2.26. : 우선협상대상자[(가칭) 넥스트레인(주)] 선정
    • '18.12.26. :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넥스트레인)
    • '19. 8.22. : 사업실시계획 승인
    • '19. 8.30. : 1구간 공사 착공
    • '20. 1.31. : 본선구간 공사 착공(1,4공구)
    • '20. 4.10. : 신안산선 전 구간 착공
    • '21. 6. : 학온역(가칭) 신설 협약 체결(공단, 광명시, SPC 등)
    • '21. 9. : 장하역(가칭) 신설 협약 체결(공단, 안산시, SPC 등)
    • '21.11. : 국제테마파크역(가칭) 신설 협약 체결(공단, 화성시, SPC 등)
    • '22. 4. : 매화역(가칭) 신설 협약 체결(공단, 시흥시, SPC)
    • '22. 9. : 한양대역(가칭) 추가출입구 신설 협약 체결(공단, 안산시, SPC)
    • '23. 5. : 향남 연장운행 협약 체결(공단, 화성시, SPC, 한국철도공사)
    • '24. 8.14. : 사업실시계획 승인(6차, 공사기간 연장)
    • '25. 1. : 전 분야 공사 추진
    필요성
    수도권 서남부와 서울 도심부를 연결하는 수도권 광역교통망을 구축함으로서 수도권 서남부지역의 교통문제 해소와 광명역과의 연계교통체계 구축으로 편리한 철도서비스 제공
  •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충청권 광역철도 노선 관련 그림
    담당자
    충청본부 계룡신탄진사업단TF, 042-607-5012
    사업내용
    경부·호남선 계룡~신탄진간 35.4km 기존선 활용 광역철도
    [신설역 6개소(도마, 문화, 용두, 중촌, 오정, 덕암), 기존역 6개소(계룡, 흑석리, 가수원, 서대전, 회덕, 신탄진)]
    사업기간
    2016년~2027년
    총사업비
    3,577억원
    사업효과
    기존 경부·호남선 시설개량을 통한 광역철도 교통체계 수립으로 충청권 인근지역의 도시간 교통불편 해소 및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
    추진현황
    • 노반공사 및 후속분야 실시설계 계속
    공정률
    ('25.6월 기준)
    13.5%
    추진실적
    • '11. 4. :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반영
    • '15.11. : 예비타당성조사 완료 (B/C 0.95, AHP 0.513)
    • '18.12. : 기본계획 완료(설계적정성검토) 및 기본계획 고시
    • '21. 4. : 관계기관 운영협약 체결(공단, 지자체, 공사)
    • '21.12. : 노반 기본·실시설계 완료
    • '22. 8. ~ '23. 4. : KDI 수요예측재조사 완료 (예타 대비 △13.2% 감소)
    • '23.12. : 노반공사 착공
    • '23.12. : 사업실시계획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833호)
    • '25. 7. 현재 : 후속분야 실시설계 中
    필요성
    기존 경부·호남선 선로 여유용량을 활용, 광역전철망을 구축하여 대전과 인접 도시 간 접근성 향상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BTO)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BTO) 관련 그림
    담당자
    GTX본부 GTX-AC사업단TF, 02-3156-4412
    사업내용
    파주(운정)~삼성 46.0km 복선전철 신설
    사업기간
    2018년~2030년(삼성역 잔여 구간 개통 시까지)
    총사업비
    3조 7,080억원 (국고 1조 1,741억원, 지방비 5,032억원, 개발분담금 3,000억원, 민자 1조 7,307억원)
    사업효과
    광역급행철도망 구축으로 수도권의 교통난 해소 및 수도권 기능과 도시간 역할 분담 강화
    추진현황
    • 삼성역 개통을 위한 후속공사 추진
    공정률
    ('25.6월 기준)
    99.7%
    추진실적
    • '09. 6. : 타당성 조사, 전체노선 B/C 1.17
    • '11. 4. :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11년 ~ '20년) 전반기('11년 ~ '15년) 착수사업으로 선정
    • '11.12.~14. 1. : 예비타당성조사, A노선 B/C 1.33
    • '14. 6. ~ '16. 6.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 시행
    • '16. 1. ~ '17. 4. : 민자적격성 조사
    • '16.10. ~ '17.11. : 파주연장선 예비타당성조사(B/C=1.11)
    • '17. 4. ~ '17.12. : 시설사업 기본계획 수립
    • '17.12.29. : 민자사업지정 및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
    • '18. 5. 1. :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 (가칭)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에이노선 주식회사
    • '18.12.13. :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
             * 사업시행자 : 에스지레일 주식회사
    • '18.12.31. : 사업 실시계획 승인(국토교통부고시 제2018-932호)
    • '19. 6.30. : 공사착공
    • '19. 6.17. : 사업실시계획 변경(1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19-284호)
    • '20. 4.21. : 사업실시계획 변경(2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20-333호)
    • '21. 1.25. : 사업실시계획 변경(3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21-45호)
    • '21.12.10. : 사업실시계획 변경(4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21-1335호)
    • '23.12.26. : 사업실시계획 변경(5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23-836호)
    • '24. 6.28. : 사업실시계획 변경(6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24-325호)
    • '24.12.16. : 사업실시계획 변경(7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24-764호)
    • '24.12.28. : 운정~서울 구간 개통
    • '24.12.30. : 사업실시계획 변경(8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24-871호)
    필요성
    수도권 생활권이 광역화됨에 따른 장거리 통행수요 대처 및 외곽지역에서 도심까지 30분대 빠른 접근을 위한 광역철도망 구축
  •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노선 관련 그림
    담당자
    GTX본부 GTX-AC사업단TF, 02-3156-4417
    사업내용
    삼성~동탄 39.7km 복선전철(전용11.4km, 공용28.3km)
    사업기간
    2014년~2028년
    총사업비
    2조 1,474억원(국고 9,432억원, 지방비 4,042억원, LH분담금 8,000억원)
    사업효과
    광역철도망 구축으로 수도권 도심인구분산 및 원활한 교통수요 처리효과
    추진현황
    • 삼성역 노반공사(서울시 위탁) 계속
    공정률
    ('25.6월 기준)
    95.0%
    추진실적
    • '08.07.~ '09.08. : 수도권 고속철도 건설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 '09.12. : 수도권 고속철도 기본계획 수립
    • '11.12.~ '14. 2.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예비타당성조사(기획재정부)
    • '13.04.04. : 제25차 철도산업위원회 안건 심의 가결
    • '13. 9 ~ '14.12 : 삼성~동탄간 광역철도 기본계획 용역(B/C 1.69)
    • '13.11.15. : 삼성~동탄 동시시공분담 협약(국토교통부, 철도공단, LH)
    • '15. 3.19. : 기본계획 고시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159호)
    • '15. 7. : T/K공사 입찰공고(2,3,4,5공구/3,5공구 유찰로 기타공사 추진)
    • '16.10. 6. : 2, 4공구(T/K) 공사착공
    • '17. 3. 9. : 사업실시계획 승인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17-135호)
    • '19. 3. 5. : 1,3,5공구(기타) 공사착공
    • '21. 7. :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위·수탁 협약 체결
    • '24. 3. : 수서~동탄구간 개통
    • '24. 6.29. : 구성역, 동탄검수선 개통
    필요성
    수도권 동남부의 부족한 대중교통 시설을 보완하고 도로 교통수요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철도 인프라 확충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BTO)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BTO) 관련 그림
    담당자
    GTX본부 GTX-B사업단TF, 02-3156-4472
    사업내용
    인천대입구~용산, 상봉~마석 62.9km 복선전철 신설 및 기존선 개량
    사업기간
    2022년~2030년
    총사업비
    4조 2,894억원(실시협약 기준)
    사업효과
    광역급행철도망 구축으로 수도권의 교통난 해소 및 수도권 기능과 도시 간 역할 분담 강화
    추진현황
    • '22년 시설사업기본계획(RFP) 고시 및 협상
    • '23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및 협상 추진
    • '24년 3월 협약 체결
    공정률
    ('25.6월 기준)
    0%
    추진실적
    • '11. 4. ~ :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11년 ~ '20년) 전반기('11년 ~ '15년) 착수사업으로 선정
    • '11.12. ~ '14. 2. : 예비타당성조사, B노선(B/C 0.33)
    • '17. 8.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B노선 예타 대상사업 재신청 및 선정
    • '19. 8. :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B/C 1.0, AHP 0.540)
    • '20. 1. ~ '21. 8.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 시행(국토교통부)
    • '22. 7. : 민자구간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국토부고시 제2022-397호)
    • '22.11. : 민자구간 시설사업기본계획 재고시(국토부고시 제2022-627호)
    • '23. 1.~ :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및 협상 착수
    • '23. 6. : 실시설계 착수
    • '24. 2. : 민간투자심의위원회 통과(KDI)
    • '24. 3. : GTX-B 착공식 및 협약식
    • '24. 7. : GTX-B(민자구간) 실시계획 승인
    • '25. 6. : 사업실시계획 변경 1차 신청
    필요성
    수도권 생활권이 광역화됨에 따른 장거리 통행수요 대처 및 외곽지역에서 도심까지 30분대 빠른 접근을 위한 광역철도망 구축
  • 용산-상봉 광역급행철도
    용산-상봉 광역급행철도 관련 그림
    담당자
    GTX본부 GTX-B사업단TF, 02-3156-4476
    사업내용
    용산~상봉 20.0km 복선전철 신설(상봉~중앙선 접속부 4.27km 신설)
    사업기간
    2022년~2030년
    총사업비
    2조 7,774억원
    사업효과
    광역급행철도망 구축으로 수도권의 교통난 해소 및 수도권 기능과 도시 간 역할 분담 강화
    추진현황
    • (전공구) 공사중(4공구 '23.12 착공, 1~3공구 '24.7 착공)
    공정률
    ('25.6월 기준)
    9.0%
    추진실적
    • '11. 4. ~ :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11년 ~ ’20년) 전반기(‘11년 ~ ’15년)착수사업으로 선정
    • '11.12. ~ '14. 2. : 예비타당성조사, B노선(B/C 0.33)
    • '19. 8. :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B/C 1.0, AHP 0.540)
    • '20. 1. ~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국토교통부) 착수
    • '22. 3. : 재정구간 기본계획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22-139호)
    • '22. 4. : 대형공사 등의 입찰방법 심의
    • '22. 9. : T/K 구간(제4공구) 기본설계 착수
    • '23. 1. : 기타공사 구간(제1~3공구) 기본 및 실시설계 착수
    • '23. 2. : T/K 구간(제4공구) 실시설계 착수
    • '23.12. : 제4공구(T/K) 우선시공분 사업실시계획 승인 및 착공
    • '24. 3. : 제4공구(T/K) 본시공분 사업실시계획 변경승인 및 착공
    • '24. 6. : 기타공구(4개) 공사 계약 체결
    • '24.12. : 기타구간(제1~3공구) 사업실시계획 변경승인
    • '25. 6. : 기타구간(제1~3공구) 및 T/K구간(제4공구) 노반 공사
    필요성
    수도권 생활권이 광역화됨에 따른 장거리 통행수요 대처 및 외곽지역에서 도심까지 30분대 빠른 접근을 위한 광역철도망 구축
  • 신분당선(광교~호매실)
    신분당선(광교~호매실) 관련 그림
    담당자
    수도권본부 광교호매실사업단TF, 02-788-5555
    사업내용
    광교~호매실 9.88km 복선전철
    사업기간
    2021년~2029년
    총사업비
    1조 1,123억원(국고 4,291억원, 지방비 1,839억원, 개발분담금 4,993억원)
    사업효과
    수원시 광교, 호매실 영통 등 대규모택지 개발로 인한 수도권 남동부 지역의 광역교통 문제 해소 및 서울 강남권과 연결하는 수도권 전철 연계교통망 구축
    추진현황
    • 노반공사 계속
    공정률
    ('25.6월 기준)
    12.1%
    추진실적
    • '04. 4. : 제2차 수도권 광역철도 5개년 계획 포함(국토부)
    • '06. 6.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B/C 1.06)
    • '10. 9. : 타당성검토(B/C 1.04)
    • '12. 6.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재검토
    • '13. 6. : 민자적격성 검토 의뢰(국토부→KDI)
    • '14.11. : 민간투자사업 타당성분석 검토(B/C 0.57, AHP 0.345)
    • '17. 1. : 제 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 반영(국토부)
    • '17. 6. : 민간투자사업 타당성분석 검토(B/C 0.39, AHP 0.359)
    • '19. 5. : 예비타당성조사 착수(B/C 0.83, AHP 0.518)
    • '21.12. : 기본계획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388호)
    • '22. 2. : 대형공사 등의 입찰방법 심의
    • '22. 5. : T/K공사(1~3공구) 공사 발주
    • '22. 7. : 기본설계 착수
    • '23. 1. : 실시설계 착수
    • '24. 2. : 실시설계 완료
    • '24. 5. : T/K공사(1~3공구) 공사계약 완료 및 공사 착수
    • '24. 6. : 사업 실시계획 고시(국토교통부 고시 제2024-314호)
    • '24. 7. : 구운역(가칭) 신설사업 위·수탁 협약 체결(수원시↔공단)
    • '25. 3. : 제1차 실시계획 변경 승인
    필요성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광역교통난 해소를 위한 경기 서남부와 서울 강남권과의 연계 광역교통망 구축
  • 태화강~송정 광역철도
    태화강~송정 광역철도 관련 그림
    담당자
    영남본부 태화강송정사업단TF, 051-664-5377
    사업내용
    태화강~북울산(송정)간 9.69km 광역철도(북울산역 연장운행)
    사업기간
    2022년~2026년
    총사업비
    418억원(국고 293억원, 지방비 125억원)
    사업효과
    • 울산 북부생활권 사업에 따른 수요 증가 분담
    • 부산~울산 지역간 교통 편의향상과 지역 균형발전 기여
    추진현황
    • 공사 중
    공정률
    ('25.6월 기준)
    31.8%%
    추진실적
    • '20. 7. : 동해남부선 송정역 광역전철 운행 타당성분석(B/C 1.22)
    • '20.12. : 광역철도 건설비 국회 반영
    • '21. 7. :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 및 대도시권광역교통시행계획 고시
    • '21.11.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착수
    • '22. 7. : 재해영향성검토 협의완료(행정안전부)
    • '22. 9. : 기본계획 고시(9.2), 운영에 관한 협약 체결(9.27)
    • '22.11. : 노반 및 건축분야 설계 발주
    • '22.11. : 건축 설계공모 공고
    • '23. 1. : 노반분야 설계 착수
    • '23. 3. : 건축분야 설계 착수
    • '23. 6. : 시스템분야 설계 착수
    • '23. 8. : 궤도분야 설계 착수
    • '24. 6. : 사업실시계획 고시(국토교통부고시제2024-345호)
    • '24. 8. : 기본 및 실시설계 및 총사업비 협의 완료
    • '25. 2. : 공사 착수
    필요성
    • 울산 북부생활권 대규모 사업으로 증가된 인구의 북울산역 이용 수요 분담
    • 부산~울산 지역간 교통 편의향상과 지역 균형발전 기여
  • 부전-마산 복선전철(BTL)
    부전-마산 복선전철(BTL) 관련 그림
    담당자
    영남본부 부전마산사업단TF, 051-664-5375
    사업내용
    부전∼진례간 32.7km 복선전철 신설
    사업기간
    2004년∼2025년
    총사업비
    1조 5,484억원(국고 1,181억원, 민간투자비 1조 4,303억원)
    사업효과
    • 부산, 서부경남 지역주민 교통편의 제공
    • 경전선·부산신항 배후철도·동해남부선을 연결하는 철도망 확충으로 철도수송 효율증대 및 관광자원 개발
    추진현황
    • '낙동 1터널 지반침하 복구공사 시행 중
    공정률
    ('25.6월 기준)
    99.1%
    추진실적
    • '11. 4. ~ :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11년 ~ '20년) 전반기('11년 ~ '15년)착수사업으로 선정
    • '11.12. ~ '14. 1. : 예비타당성조사, C노선(B/C 0.66)
    • '15.10.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재기획 완료(B/C 1.01)
    • '16. 1. : 의정부~금정 광역급행철도 예비타당성조사 착수
    • '16. 6.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16년~‘25년) 수립
    • '17.11.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계획 변경(시·종점 변경)
    • '18.12.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C노선 예비타당성조사(B/C 1.36)
    • '19. 4. : 민자적격성 조사 완료
    • '19. 6. ~ '20.10.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시행
    • '20.12 :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20-1002호)
    • '21. 6. :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23. 8. : 실시협약 체결
    • '23.12. : 사업실시계획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23-819호)
    • '24. 9. : 사업실시계획 변경(1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24-483호)
    • '00. 3. ~ '00.12.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B/C 1.38)
    • '09.12. :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국토교통부 고시 제200-1299호)
    • '10. 7. : 우선협상대상자 선정(SK건설 컨소시엄)
    • '12.12.18. : 민간투자심의위원회 심의 완료(기재부)
    • '13. 1.30. : 실시협약 체결(스마트레일(주))
    • '13. 2. ~ 12. : 실시 설계
    • '14. 5.30. : 사업실시계획 승인
    • '14. 6.29. : 공사 착공
    • '20. 3. : 낙동1터널 지반침하 사고 발생
    • '22.12. : 제15차 실시계획 변경 승인
                * 공사기간연장 승인(∼ʼ22.12. → ∼ʼ23.12.)
    • '23.10. : 제16차 실시계획 변경 승인
    • '23.12. : 제17차 실시계획 변경 승인
    • '24.12. : 제19차 실시계획 변경 승인
                * 공사기간연장 승인(∼ʼ24.12. → ∼ʼ25.12.)
    필요성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과의 연계를 통한 철도수송 효율제고 및 지역개발 촉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BTO)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BTO) 관련 그림
    담당자
    GTX본부 GTX-AC사업단TF, 02-3156-4426
    사업내용
    경기도 수원~덕정 86.5km 복선전철 신설(신설37.95km, 공용48.51km)
    사업기간
    2023년~2028년
    총사업비
    4조 6,084억원
    사업효과
    광역급행철도망 구축으로 수도권의 교통난 해소 및 수도권 기능과 도시간 역할 분담 강화
    추진현황
    • '23년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실시계획 고시 완료
    • '25년 하반기 착공 예정
    공정률
    ('25.6월 기준)
    0%
    추진실적
    • '11. 4. ~ :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11년 ~ '20년) 전반기('11년 ~ '15년)착수사업으로 선정
    • '11.12. ~ '14. 1. : 예비타당성조사, C노선(B/C 0.66)
    • '15.10.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재기획 완료(B/C 1.01)
    • '16. 1. : 의정부~금정 광역급행철도 예비타당성조사 착수
    • '16. 6.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16년~‘25년) 수립
    • '17.11.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계획 변경(시·종점 변경)
    • '18.12.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C노선 예비타당성조사(B/C 1.36)
    • '19. 4. : 민자적격성 조사 완료
    • '19. 6. ~ '20.10.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시행
    • '20.12 :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20-1002호)
    • '21. 6. :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23. 8. : 실시협약 체결
    • '23.12. : 사업실시계획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23-819호)
    • '24. 9. : 사업실시계획 변경(1차) 승인(국토부고시 제2024-483호)
    • '25. 6. : 1~6공구 건설사업관리용역 계약 체결
    필요성
    수도권 생활권이 광역화됨에 따른 장거리 통행수요 대처 및 외곽지역에서 도심까지 30분대 빠른 접근을 위한 광역철도망 구축
  • 대전~옥천 광역철도
    대전~옥천 광역철도 관련 그림
    담당자
    충청본부 대전옥천사업단TF, 042-607-5015
    사업내용
    오정역~옥천역 간 경부선 20.1km 노선 활용한 정거장 4개소 개량 사업
    사업기간
    2021년~2026년
    총사업비
    490억원(국고 294억원, 지방비 196억원)
    사업효과
    • 기존 경부선 시설개량을 통한 충청권 인근지역의 도시간 교통불편 해소
    • 충청권 광역철도와 연계로 주요 도시의 활성 및 지연 균형발전 기여
    추진현황
    • 전 분야 기본 및 실시 설계 진행 중
    공정률
    ('25.6월 기준)
    2%
    추진실적
    • '16. 6.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추가검토사업 반영
    • '16.11. : 대전~옥천 광역철도 사전타당성조사 시행(국가철도공단)
    • '20. 2.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국토교통부)
    • '20. 8~11. : 사업비 및 운영비 분담에 대한 지자체간 협의
    • '20.12. : 재해영향성검토 협의(행정안전부)
    • '21. 1. : 기본계획 용역 준공(국토교통부)
    • '21. 7. :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고시(대전~옥천 광역철도 지정)
    • '21.10. : 대전~옥천 광역철도 기본계획 고시
    • '22. 5. : 노반분야 설계용역 착수
    • '22. 6. : 건축분야 설계용역 착수
    • '22. 7. : 궤도분야 설계용역 착수
    • '23. 6. : 시스템분야 설계용역 착수
    • '24.12. : 기본 설계 완료
    • '25. 6. : 타당성 재조사(KDI) 착수
    필요성
    • 기존 일반철도의 여객운송 역할의 감소 등 철도 선로 여유용량 발생이 예상되는 기존선의 활용성 제고
    • 충청권 광역연계 철도망 구축을 통해 거점도시간 접근선 향상 및 지속가능한 녹색교통 수단의 효율적인 이용 도모
  • 대장-홍대 광역급행철도
    대장-홍대 광역급행철도 관련 그림
    담당자
    GTX민자지원처 민자광역사업부, 042-607-3975
    사업내용
    부천 대장~홍대 20.1km 복선전철 신설
    사업기간
    2024년~2031년
    총사업비
    2조 1,287억원 (국고 6,124억원, 지방비 2,624원, 개발분담금 1,463억원, 민간사업비 11,075억원)
    사업효과
    • 부천대장 3개 신도시 광역교통시설 적기 공급 및 부천지역 철도 서비스 취약지역에 광역교통망 구축
    추진현황
    • '24.6월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실시설계중)
    공정률
    ('25.6월 기준)
    6%
    추진실적
    • '16. 6.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 '20.12. : 민간사업자 사업제안서 제출(현대건설→국토교통부)
    • '21. 2 ~ 11.: 민자적격성 조사(KDI) * B/C 0.9, AHP 0.529
    • '21. 7.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대장~홍대입구, L=20.0km)
    • '21.12. : 제3자 제안공고(안) 작성 의뢰(국토교통부→철도공단, KOTI)
    • '22. 9. : 제3자 제안공고 고시
    • '23. 2. : 우선협상대상자 선정(현대건설 컨소시엄)
    • '23.10. : 실시설계 착수
    • '24. 6. : 실시협약 체결
    • '25. 4. : 실시계획 승인 신청
    필요성
    • 부천대장 3개 신도시 광역교통시설 적기 공급 및 부천지역 철도 서비스 취약지역에 광역교통망 공급
  • 용산-강남 복선전철
    용산-강남 복선전철 관련 그림
    담당자
    수서광주사업단TF, 02-3156-4422
    사업내용
    신분당선 용산~강남 7.8km 복선전철 신설
    사업기간
    [1단계 신사~강남] 2016년~2022년
    [2단계 용산~신사] 2024년~2031년
    총사업비
    1조 8,462억원
    사업효과
    • 서울 도심과 신분당선(강남~광교) 구간의 연계 철도망을 구축하여 수도권 남동부지역의 주민들에게 서울 도심과 직결하는 전철 교통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교통난을 근본적으로 해소
    추진현황
    • 용산~신사(2단계) 구간 보완실시설계 중
    공정률
    ('25.6월 기준)
    -
    추진실적
    • '08. 4. : 민간투자사업 제안서 접수
    • '08. 4.~'09. 1. : 민자적격성 조사(국토부→PIMAC)
    • '10. 2. : 제3자 제안 공고
    • '10. 4.~'11.12. : 우선협상 대상자 지정 및 협상
    • '12. 4. :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협약 체결(국토부↔새서울철도㈜)
    • '13. 9.~'14. 9. : 수요예측재조사(국토부→KDI)
    • '16. 7. : 1차 변경실시협약 체결(1단계(신사~강남)와 2단계(용산~신사)로 단계별 시행)
    • '16. 8. : 사업실시계획 승인고시 및 1단계(신사~강남) 구간 공사착공
    • '18. 6. : 2차 변경실시협약 체결
    • '22. 5. : 3차 변경실시협약 체결
    • '22. 5.28. : 1단계 구간(신사~강남) 개통
    • '24.12. : 2단계(용산~신사) 보완실시설계 착수
    필요성
    • 서울 도심과 신분당선(강남~광교) 구간의 연계 철도망을 구축하여 수도권 남동부지역의 주민들에게 서울 도심과 직결하는 전철 교통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교통난을 근본적으로 해소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 평가
평가하기
등록하기

담당자 · 담당부서 : 사업총괄 · 문의전화 : 042-607-3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