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사업소개
철도건설
고속철도
주요사업현황
고속철도
빠르고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로 국민과 함께 가겠습니다.
주요사업현황
-
경부고속철도 2단계
- 담당자
- 충청본부 대전북연결선사업단, 042-607-5153
- 사업내용
- 동대구~부산 169.5km 고속철도건설
(동대구~부산 124.2km, 대전·대구도심구간 45.3km)
경부고속선 안전취약개소(대전북연결선) 개량사업(5.9km)
- 사업기간
- 2002년~2027년
- 대구이남 개통('10년)
- 대전·대구도심구간 개통('15년)
- 대전북연결선 개량공사('27년까지)
- 대전남연결선 철거공사('26년까지)
- 총사업비
- 8조 2,808억원
- 국고 3조 9,027억원, 공단조달 4조 3,781억원
※ '07년 이후 : 국고 50%, 공단 50%
'07년 이전 : 국고 35%, 공단 65%
- 사업효과
-
경제적효과
- 서울~부산간 철도 여객 수송능력 3.4배, 화물 수송능력 7.7배 증가
※ 여객 : 18만명/일 → 62만명/일(통일호 이상), 화물 : 39만개/년 → 300만개/년(컨테이너 기준)
- 고속도로 이용객이 고속철도 이용함으로써 도로의 교통 혼잡 현상 해소
- 시간비용ㆍ운행비 절감 등 사회경제적비용 감소와
철도수송 전환으로 인한 자동차 교통사고 감소
※ 서울~부산간 : 운행시간 130분(동대구~부산간 : 39분)
사회ㆍ문화적 효과
- 인구 및 기업의 지방 분산 및 이전 촉진으로
지방 경제 활성화에 따른 국토의 균형 개발 촉진
- 고속철도를 이용한 인적교류에 의하여
수도권에 집중된 정보가 지방으로 신속히 파급되고
지방 생산 정보량 증가로 지역간 정보격차 완화
기술ㆍ산업적 효과
- 고속철도는 토목, 기계, 전기, 전자 등 첨단기술이 복합된 종합시스템으로
국내의 기술ㆍ산업 전반에 대한 파급효과가 큼
- 추진현황
-
- '24.6월 대전북연결선 누계 공정률 2.4%
- 대전북연결선 개량공사 계속
- 추진실적
-
- '01.11 : 2단계사업 조기착공(당초 2004년→ 2002년) 방침 결정
- '04.04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개통
- '06.08.22 : 경부고속철도 2단계 기본계획 변경(3차) (대전대구도심 지하건설 → 지상건설 등)
- '09.06.24 : 경부고속철도 2단계 기본계획 변경(5차) (대전대구도심구간 사업기간 변경, '10 → '14년)
- '10.11.01 : 경부고속철도 2단계 대구이남구간(동대구~부산) 개통
- '15.08.01 : 경부고속철도 2단계 대전·대구도심구간 개통
- '16.10.24 : 홍도과선교 지하화 업무협약 체결(공단↔대전시)
- '17.07~'17.11 : 홍도과선교 철도구간 철거공사 착수
- '17.12.01 : 대전역사 개선공사 완료, 사용(대합실, 화장실) 개시
- '18.02~'20.07 : 부산차량기지 2단계 DRMO부지 오염토양정화사업
- '19.03~'19.08 : 대전 북연결선 사업계획적정성 재검토완료(KDI)
- '19.12 : 대전도심 홍도지하차도 완공
- '20.07 : 대전북연결선(T/K)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
- '21.10 : 대전북연결선(T/K) 공사 계약 체결
- '24. 7 : 대전남연결선 기획재정부 총사업비 승인
- 필요성
-
- 기타
-
1단계('92.6~'04.4) : 연장 409.8km, 사업비 12조 7,377억원
- 서울~동대구간 신선(238.6㎞), 대구~부산간 기존선(171.2㎞)
2단계('02~'24) : 연장 169.5km, 사업비 8조 2,475억원
- 대구이남구간('02~'10) : 연장 124.2㎞, 4조 8,409억원
- 동대구~경주~울산~부산간 신선, 오송역, 김천구미역
- 대전ㆍ대구 도심구간('02~'21) : 연장 45.3㎞, 2조 9,091억원
- 대전 홍도지하차도, 대구 태평지하차도 확장공사
- 건천연결선('10~'15) : 연장 3.9㎞, 1,232억원
- 대전북연결선 개량('20 ~ '27) : 연장 5.9km, 3,746억원
- 대전남연결선 철거공사 : 연장 4.6km, 383억원
-
호남고속철도
- 담당자
- 호남본부 호남고속사업단, 062-602-5365
- 사업내용
-
- 1단계(오송~광주송정) 182.3km
- 2단계(광주송정~목포) 77.8km
- (광주송정∼고막원) 기존선 고속화 구간 25.9km
- (고막원∼임성리) 고속철도 건설 44.6km
- (임성리~목포) 기존선 활용 7.3km
- 사업기간
- 2006년~2015년(1단계), 2015~2027년(2단계)
- 총사업비
- 11조 1,464억원(국고 50%, 공단조달 50%)
- 1단계 오송~광주송정 8조 1,190억원
- 2단계 광주송정~목포 3조 274억원
- 사업효과
-
- 철도수송능력 향상과 빠른 교통체계 구축으로 반나절생활권 실현
- 용산~목포간 2시간 5분(기존 191분 대비 66분 단축)
- 한반도 양대 고속철도 중심축 구축으로 균형발전 촉진
- 국가경쟁력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경부축과 함께 우리나라 양대 축인 호남축 구축으로 수도권과 호남지역을 연결
- 고속도로와 기존철도를 이용한 연계교통시설로서 전국 교통시설의 기능분담의 역할을 담당
- 호남축의 수송능력 대폭 증대 및 물류비용 해소에 기여
- 여객전용의 고속철도 도입으로 호남선 및 전라선 일반철도에 대한 화물열차 투입운영에 여유, 화물수송능력 증가로 물류문제 해소에 기여
- 추진현황
-
- '15.4월 1단계(오송~광주송정) 개통
- '25.3월 2단계(광주송정~목포) 누계 공정률 35.84%
- 고막원~목포구간 공사 계속
- 추진실적
-
- '06.08.28. : 호남고속철도 건설기본계획 확정 및 고시(건교부 2006-336호)
- '06.11.30.~'08.11.28. : 기본설계
- '08.11~'09.11 : 기타구간(오송~광주) 실시설계
- '09.04.16. : 기본계획 변경 고시('14년 개통, 차량기지 위치변경)
- '09.04.16. : 사업실시계획승인(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185호)
- '09.05.22~'09.12.28 : 오송~광주송정 노반 19개공구 착공
- '10.12.20. : 호남고속철도 광주송정~목포(임성리) 노선타당성조사 준공
- '12.02.17. : 호남고속철도 차량 구매계약 체결 및 제작 착수
- '12.08.03. : 기본계획 변경 고시(당초 신설 노선 폐지 등,국토해양부고시제2012-462호)
- '15.04.02. : 호남고속철도(오송~광주송정) 개통
- '15.11. : 광주송정~고막원 구간 분야별 실시설계 착수
- '16.12. : 궤도 및 시스템 분야 공사착공
- '17.07. : 광주송정~고막원 노반분야 공사착공
- '17.11. : 나주역사 건축분야 공사착공
- '17.11. : 무안공항 경유노선 추진 결정(기재부 사업계획적정성평가)
- '18.08. :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 변경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18-482호)
- '18.11. : 호남고속2단계(고막원~목포) 노반 기본 및 실시설계 착수
- '19.06. : 호남고속2단계(광주송정~고막원) 기존선고속화 사용개시
- '19.07. : 호남고속2단계(고막원~목포) 노선(안) 주민설명회 시행
- '20.12. : 고막원∼목포 노반 기타공사(1,3,6,7공구) 착수
- '21.05. : 고막원~목포 사업실시계획 승인(기타공사 구간)(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690호)
- '21.06. : 고막원∼목포 노반 기술제안(2,4,5공구) 착수
- '22.01. : 고막원~목포 사업실시계획 변경 승인(전 구간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48호)
- '22.08. : 공항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부산지방항공청 제2022-38호)
- '22.08. : 실시계획 변경 승인(광주송정~고막원간 부분준공)(국토교통부 제2023-152호)
- '24.06. : 실시계획 변경 승인(국토교통부 제2024-322호)
- 필요성
-
- 호남축의 도로 혼잡 및 물류수송 애로를 해소
- 실질적인 전국 반나절 생활권 실현
- 호남권의 성장 잠재력 극대화 및 국가 균형발전
- 기타
-
주요시설
- 노반(오송~광주송정) : 토공 65.8㎞(36%), 교량 72.7㎞(39%), 터널 46.0㎞(25%)
- 차량 : 22편성(1편성 10량) , 차량기지 : 광주차량기지
- 역사
- 1단계 : 오송, 공주, 익산, 정읍, 광주송정
- 2단계 : 나주, 무안공항, 목포역(기존 역사 활용)
-
인천발 KTX 사업
- 담당자
- 수도권본부 인천수원KTX사업단TF, 02-788-5208
- 사업내용
-
- 수인선 어천역~경부고속선 간 연결선 6.2km 신설
- 송도역~어천역간 34.9km 신호개량
- 기존선 3개역 개량(수인선 송도역, 어천역, 안산선 초지역)
- 고속철도 운행을 위한 노반, 궤도, 건축, 전기, 통신, 신호 및 기타부대시설
- 사업기간
- 2016년~2026년
- 총사업비
- 5,640억원
- 연결선 신설 : 3.012억원 (국고 50%, 공단조달 50%)
- 기존선 개량 : 2,583억원 (국고 100%)
- 사업효과
-
- 인천, 안산, 화성지역의 고속철도 서비스 수혜지역 확대
- 고속철도 중심의 교통체계 구축 및 수송능력 증대
- 소요시간 : 인천~부산 간 2시간40분, 인천~광주 간 1시간55분
- 추진현황
-
- '25.1월 누계 공정률 29.4%
- 인천발KTX 사업구간 공사 계속
- 추진실적
-
- '15.08. : 수원·인천 고속철도 효율화 방안 연구(B/C 1.28, 국토부)
- '16.10. : 인천발 KTX 직결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착수
- '17.03. : 인천발 KTX 직결 기본계획(안) 철도산업위원회 심의(국토교통부)
- '17.12. : 총사업비 협의 완료(기획재정부)
- '18.02.28. : 기본계획 고시((국토교통부 고시 제2018-121호)
- '20.10. : 노반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 '20.12. : 노반공사 착수
- '21. 4. : 사업실시계획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299호)
- '23.12 : 사업실시계획 변경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760호)
- '24. 5 : 사업실시계획 변경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24-225호)
- '24. 6 : 시스템 공사 착수
- 필요성
-
- 인천, 안산, 화성지역의 고속철도 서비스 수혜지역 확대 필요
- 고속철도 중심의 교통체계 구축 및 수송능력 증대 필요
-
수원발 KTX 사업
- 담당자
- 수도권본부 인천수원KTX사업단TF, 02-788-5205
- 사업내용
-
- 경부선 서정리역~수서고속철도 지제역 간 연결선 신설(9.45km, 상/하 단선)
- 기존역 3개역 개량(경부선 수원역, 서정리역, 수서고속철도 지제역)
- 고속철도 운행을 위한 노반, 궤도, 건축, 전기, 통신, 신호 및 기타부대시설
- 사업기간
- 2016년~2026년
- 총사업비
- 3,413억원
- 연결선 신설 : 2,669억원 (국고 50%, 공단조달 50%)
- 기존선 개량 : 744억원 (국고 100%)
- 사업효과
-
- 경부선과 수도권고속철도 직결운행을 통한 수원 등 수도권 남부지역 고속철도 서비스 수혜지역 확대
- 일반철도와 고속철도의 혼용에 따른 서울~시흥의 부족한 선로용량 해결
- 소요시간 : 수원~부산 간 2시간16분, 수원~목포 간 2시간11분
- 추진현황
-
- '25.1월 누계 공정률 42.4%
- 수원발KTX 사업구간 공사 계속
- 추진실적
-
- '15.08. : 수원·인천 고속철도 효율화 방안 연구(B/C 1.39, 국토부)
- '16.10. : 수원발 KTX 직결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착수
- '17.03. : 수원발 KTX 직결 기본계획(안) 철도산업위원회 심의(국토교통부)
- '17.12. : 총사업비 협의 완료(기획재정부)
- '18.02.28. : 기본계획 고시(국토교통부 고시 제2018-120호)
- '20.10. : 노반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 '20.12. : 노반공사 착수
- '21. 4. : 사업실시계획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300호)
- '23.10. : 사업실시계획 변경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598호)
- '24. 6. : 시스템 공사 착수
- '24.12. : 사업실시계획 변경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24-1014호)
- 필요성
-
- 경부선과 수도권고속철도 직결운행을 통한 수원 등 수도권 남부지역 고속철도 서비스 수혜지역 확대
- 일반철도와 고속철도의 혼용에 따른 서울~시흥의 부족한 선로용량 해결
-
평택~오송 2복선화 건설사업
- 담당자
- 충청본부 평택오송사업단TF, 042-607-5132
- 사업내용
-
- 경부고속선 평택~오송간 46.4km 2복선화 건설
- 사업기간
- 2020년~2028년
- 총사업비
- 3조 4,286억원
- 사업효과
-
- 선로용량 증대를 통해 경부, 호남, 수서평택 고속선이 합류하는 고속선 공용 구간의 병목현상 해소
- 400km/h급 고속철도 도입으로 국내 수요 대응 및 해외시장 진출 등 미래 철도산업 토대 마련
- 추진현황
-
- '24.9월 누계 공정률 10.6%
- '23년 9월 사업실시계획승인
- 노반 분야 본격 공사 추진 예정
- 추진실적
-
- '16.08.∼'17.12. : 사전타당성조사 시행(B/C 1.17, 공단)
- '17. 9. : 예비타당성조사 착수
- '19. 1. :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예타면제 대상사업 선정
- '19. 2.∼ 8. : 사업계획적정성검토(KDI)
- '19.11.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착수(국토교통부)
- '20.10.∼'21. 4. : 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KDI)
- '21. 6. : 기본계획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21-911호)
- '21. 9.∼: 전 공구 T/K(5개 공구) 입찰공고
- 제4공구는 유찰 2회로 입찰공고를 재시행('21.11.15.)하여 사업추진
- '22. 5.∼: T/K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 및 실시설계 착수
- '22. 5.∼'22. 7 : 궤도 및 시스템분야 기본설계 착수
- '23. 6. : 전 공구 T/K 노반공사 착공
- '23. 9. : 사업실시계획승인
- 필요성
-
- 선로용량이 부족한 경부고속선 평택~오송 구간 선로용량 확충 필요
- 400km/h 상용화 기반 시설 마련으로 철도기술 경쟁력 마련 필요